28년간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근무하면서 기업 오너들의 기업승계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경험을 축적하면서 기업승계를 위한 전문적인 노하우를 쌓았습니다. 한국에서 가업승계사업을 한다고 하는 기관은 대부분 가업이 아니라 재산승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재산승계 뿐만 아니라 지배구조 설계 후계자와 그 가족 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후계자를 위한 경영진 육성 등 진정한 의미의 가업승계를 위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전경련에 근무하면서 기업 관련 입법활동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경험을 축적하였습니다. 연평균 2000건씩 재개정되는 국회 입법에 기업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의견이 입법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전경련에서 다양한 기업들의 투자와 관련한 활동에 참여하고 투자 애로사항을 해결하면서 기업투자와 관련한 자문에 남다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투자와 관련한 사업 구상, 애로사항 해결 사업, 파트너 발굴 등에 있어서 탁월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전경련 재직시 북한경제 마스터 플랜을 작성한 바 있습니다. 조만간 이루어질 북한투자와 관련하여 유망투자처 발굴 투자 안정성 확보 그리고 투자 회임과 과실송금 등 북한 투자에 기업들이 원하는 바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1992 “행정규제완화에 관한 건의의 배경과 기본방향” 행정규제완화에 관한 건의 행정규제완화 민간자문위원회
1992 “배타조건부거래의 동기와 경쟁정책” 산업조직연구 한국산업조직학회
1992 “정부규제의 근거로서의 시장실패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992 “비대칭정보와 규제완화” 규제완화 행정규제민간연구센터
1993 “완구산업의 경쟁애로요인과 규제완화방안” 규제완화 한국경제연구원 규제연구센터
1994 "Deregulation Policy in Korea" Paper presented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ivatization and Deregulation
1995 "The Results and Future Course of Antitrust Policy in Korea" Paper presented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Role of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for the Rule of Law and the Free Market in Korea
1995 "The Results and Future Course of Deregulation Policy in Korea" Paper presented in International Seminar on Reinventing Government: Asia Style II The Asia Foundation October 1995
1997 “공정거래법의 경제분석” 한국법의 경제학 한국경제연구원
1997 “공정거래법의 사적집행에 관한 연구” 법과 경제학 한국경제연구원
1997 “프랜차이즈 계약의 경제분석과 경쟁정책” 규제연구 97년여름호 한국경제연구원
<저서>
1990 『국내 자동차산업의 수요구조분석과 경기전망』 대한투자신탁 경제연구소
1992 『불공정거래행위의 경쟁정책』 한국경제연구원
1992 『정부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부규제에 대한 기업인 의식조사를 중심으로』(공저) 행정규제민간연구센터
1993 『규제완화의 방향과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규제연구센터
1994 『한국의 가격규제』(공저) 한국경제연구원 규제연구센터
1994 『민영화와 규제완화』(공동편저) 한국경제연구원 규제연구센터
1994 『Privatization and Deregulation - The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Korea's approach』- (co-editor)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